유선 네트워크 환경이란 회사의 네트워크망이나 가정의 고속 통신망에 접속하여 네트워크 하는 환경을 말한다. 정확히 말하자면 LAN 케이블을 LAN커넥터에 연결하여 네트워크 하는 환경에서 보게되는 용어를 알아보려고 한다.

📌 IP(Internet Protocol Address)

Internet은 ‘Inter(- 간에, -사이에) + network(네트워크)‘합성어로, 네트워크와 네트워크간의 연결, 소규모 네트워크간의 연결
그리고 대규모로 연결되어, 거대한 네트워크를 이룬 것을 말한다.

Protocol은 복수의 컴퓨터 사이나 중앙 컴퓨터와 단말기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을 원할하게 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 통신 규약이다.
규약은 약속이기 때문에, 데이터 통신을 위해 규약을 지켜 통신 해야한다.

간단한 예를 들면 http도 프로토콜인데, 인터넷 상에서 데이터를 받기위한 서버/클라이언트 모델을 따르는 프로토콜이다.
웹 사용자는 http:// 혹은 https:// 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받는다.

정리하면, IP는 거대한 네트워크에서 통신할 때 컴퓨터의 주소이다.
그러므로, 모든 컴퓨터는 IP를 가지고있다.

IP 주소는 mac) 시스템 환경설정 > 네트워크 > 상태 에서 볼 수 있다. widonw) cmd > ipconfig 에서 볼 수 있다.

📌 서브넷 마스크

서브넷 마스크는 IP 주소에 대한 네트워크ID와 호스트ID를 구분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서브넷은 255와 0으로 구분되어있다. 255가 네트워크 부분, 0이 호스트 부분이므로 IP주소의 어디까지가 네트워크 주소이고, 어디까지가 호스트 주소인지 알 수 있다.

예를들면, IP: 10.100.10.123이고, 서브넷 마스크: 255.255.255.0이라면,
10.100.10이 네트워크 부분으로, 하나의 지역, 한 빌딩 또는 같은 LAN내에 있는 모든 컴퓨터가 하나의 인터넷(10.100.10)을 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도메인 서버(Domain Name System Sercer)

복잡한 IP주소 <-> 도메인 이름으로 변환해주는 것이 도메인 서버이다.
일반 사용자가 웹브라우저 접속하고자 할 때, 해당 웹서버에 통신하기 위해서는 도메인의 IP주소가 필요하다.
사용자는 웹브라우저의 모든 IP주소를 알지 못하기 때문에 주소창에 도메인을 포함한 URL을 입력한다.
여기서 DNS서버가 도메인을 IP주소를 조회하여 변환해줌으로써 접속이 가능하다

PC의 환경은 각 이동통신사(KT,SK,LG U+)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망을 사용하므로 통신사의 DNS망을 이용한다. 한국 내 모든 서버들이 DNS요청을 하는데 엄청난 트래픽이 발생하므로 캐싱을 이용해 이를 해결한다.
각 이동통신사의 DNS서버 IP는 구글링하면 쉽게 나온다.

📌 Gateway 혹은 라우터

Gateway는 뜻 그대로 출입문이다.
다른 네트워크로 들어가는 입구 역할을 하는 네트워크 포인트이다.
즉 외부 네트워크 및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 Gateway가 있어야한다.
게이트주소는 보통 네트워크에 할당된 host의 ip주소 중 끝자리만 다른 형태이다.
게이트웨이와 라우터의 기능이 헷갈릴 수 있는데,
게이트웨이는 프로토콜이 다른 네트워크 장비 연결(layer4), 라우터는 주로 LAN과 WAN을 연결(layer3)
하는데 많이 사용되며, 요즘에는 라우터와 게이트웨이 기능이 같이 있는 장비를 많이 사용한다.

🔐 즉 인터넷연결을 위해서는 ip주소, 서브넷마스크, 게이트웨이가 필수적이다.